대한민국 제21대 대통령

대한민국
Joined January 2010
#종묘 는 대한민국 정부가 1995년 첫 등재한 유네스코 세계유산이며, 500년 넘게 제례와 제례악이 이어져 온 살아있는 유산입니다. 우리는 이 소중한 유산의 경관과 가치를 지켜내야 하는 중대한 기로에 서 있습니다. 높이의 문제가 아닌 미래세대에 무엇을 물려줄 것인가 고민해야 하는 시점입니다.
대전 국립중앙과학관에서 국민보고회가 있었습니다. 다시 과학기술인을 꿈꾸는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한 발제를 진행했고 참여하신 분들의 많은 의견을 받았습니다. 앞으로 더 최선의 다해 노력해서 젊은 인재들이 다시 과학인을 꿈꾸도록 만들겠습니다. facebook.com/share/1CobCXzWr…
<어린 소년의 꿈이, 과학자의 든든한 언덕으로> piped.video/shorts/1xRo5PAVU… #이재명 #과학기술인 #국민보고대회
<화끈한 대통령과 고장난 부총리..? 🤖> piped.video/shorts/EnJ6_ZPWE… #이재명 #과학기술인 #국민보고대회
‘지나친 대비가 부족한 준비보다 언제나 낫다’는 원칙 아래,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예산과 자원, 인력 투자는 필요한 곳에 결코 아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동해안 산불 위험 지역을 찾아 군과 소방의 산불 진화 장비와 대응체계를 살피고, 과거 산불 피해 지역도 둘러봤습니다. 헬기 공중 진화, 드론 정밀 진화, 헬기 물 투하와 같은 다양한 첨단 기법을 활용한 산불 진화 합동훈련을 참관하며 역량을 세밀히 점검했습니다. 산림청, 소방청, 지방정부의 역할을 명확히 하고 통합 지휘체계를 운영하며 산불 발생 시 일사천리로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 중입니다. 국민 여러분께서 안전하고 평화로운 일상을 누리실 수 있도록 더욱 철저히 준비해 나가겠습니다.
<세계가 주목한 APEC, 모두 여러분 덕분입니다> piped.video/shorts/LXE6KB55I… #이재명 #대통령 #APEC #시정연설
전시작전통제권 조기 회복은 한미동맹의 진전을 가속화하는 중요한 전환점으로, 우리 군의 역량이 강화될수록 미국의 방위 부담 역시 줄어들 것입니다. 지난주 트럼프 대통령과 합의한 원자력 추진 잠수함 건조 지원 역시 우리 군사력의 향상뿐 아니라 한미동맹 발전에도 중대한 기여를 하리라 생각합니다. 피트 헤그세스 미국 전쟁부장관의 첫 한국 방문을 진심으로 환영하며, 한반도를 넘어 세계 평화와 안정을 위해 헌신하는 미국 국방·군사 리더십에 감사를 전했습니다. 헤그세스 장관은 한국의 국방비 증액, 첨단 재래식 전력과 원자력 추진 잠수함 확보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히며, 조선 협력 강화와 선박 공동 생산에도 기대를 나타냈습니다. 앞으로도 지속적 협력과 상호 신뢰를 토대로 굳건한 한미동맹 관계를 이어가며, 한반도와 아태지역은 물론 전 세계 평화에도 이바지하겠습니다.
<한미동맹 새로운 전환점! 🇰🇷🇺🇸> #이재명 #한미동맹 📎 piped.video/shorts/0UzXxZsf7…
<대한의 역사가 완성한, 이재명 정부 첫 예산안!💸> 저는 우리 국민 여러분의 저력을 믿습니다. 그래서 자신 있습니다. 산업화와 정보화를 성공적으로 이뤄낸 것처럼 위대한 대한국민들과 함께 ‘인공지능 시대’의 문을 활짝 열겠습니다. #이재명 #시정연설 📎 piped.video/shorts/55n_kBQ3M…
이재명 retweeted
Today is a milestone in our friendship with the Republic of Korea. President Lee Jae Myung and I upgraded our bilateral relationship to a Strategic Partnership. This means broadening and deepening our cooperation. It goes beyond having trade and investment links.
<부동산에서 생산적 금융으로> 한반도안보리스크, 지배구조리스크, 시장투명성리스크가 조금 개선되고, 인공지능 등 산업경제정책과 정치안정 때문이겠지요. 모두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여러분 대한국민 덕분입니다. "사상 처음"…국민연금, 올해 200조 벌어 naver.me/ximW0JDa
<떠오르는 아시아의 별 두 개⭐️⭐️?> #이재명 #LawrenceWong #싱가포르 📎piped.video/shorts/fDhOYi6tk…
<매일 만나는 50년 지기 손님?> #이재명 #대통령 #싱가포르 📎 piped.video/shorts/vatgUB_up…
아세안 창립회원국이자 사무국이 위치한 인도네시아는 정치·경제적으로 아세안을 대표하는 핵심 국가입니다. 우리 기업 2,300여 개가 진출해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중요한 협력국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프라보워 수비안토 인도네시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통해, 양국이 글로벌 불확실성을 함께 헤쳐 나가는 ‘특별 전략적 동반자’임을 다시 한번 확인했습니다. 앞으로 우리는 문화·창조 산업 합작사업 추진과 더불어 방산, 교육, 노동 분야의 호혜적 협력을 심화하기로 뜻을 모았습니다. 인도네시아 국부펀드 출범을 축하하며 양국의 투자 협력 확대에 대한 기대도 함께 전했습니다. 취임 후 처음으로 한국을 방문해 주신 프라보워 대통령께 깊은 감사를 전합니다. 가까운 시일 내 상호 방문이 성사되어 양국 관계를 한층 더 발전시켜 나가길 희망합니다. @prabowo Indonesia, a founding member of ASEAN and the host country of the ASEAN Secretariat, is a key nation that represents ASEAN both politically and economically. It is also one of our most important partners, with more than 2,300 Korean companies actively operating there. At the summit meeting with President Prabowo Subianto of Indonesia, we reaffirmed that our two countries are “special strategic partners” working together to navigate the current global uncertainties. Going forward, we agreed to deepen mutually beneficial cooperation in the fields of defense industry, education, and labor, while also promoting joint projects in culture and creative industries. I also conveyed my congratulations on the launch of Indonesia’s sovereign wealth fund and expressed high expectations for the expansion of bilateral investment cooperation. I extend my sincere gratitude to President Prabowo for visiting Korea for the first time since taking office. I look forward to making a reciprocal visit in the near future and to further advancing the close partnership between our two nations.
92
511
11
1,961
필리핀은 6.25전쟁 당시 7천여 명의 참전용사를 파병하며 우리나라의 평화와 자유를 위해 함께 싸운 소중한 우방국입니다. 6.25전쟁 75주년을 맞아, 필리핀 용사들의 숭고한 희생에 깊은 경의를 표합니다. 처음으로 한국을 찾아주신 페르디난드 로무알데즈 마르코스 주니어 필리핀 대통령께 감사를 전합니다. 특별히 지난달 한-필리핀 전략적 동반자 관계 수립 1주년을 맞이한 터라 이번 방문이 더욱 의미 있게 여겨집니다. 우리는 한-필리핀 FTA 이후 활발히 확대되고 있는 경제 협력을 기반으로 인프라, 조선, 방산을 비롯한 전략적 협력을 한층 더 공고히 해 나갈 계획입니다. 필리핀이 차기 ASEAN 의장국을 맡은 것을 축하하며, 한-ASEAN 관계 강화를 위해서도 긴밀히 협력하기로 뜻을 모았습니다. 이번 만남을 계기로 우리의 우정이 더욱 견고해지길 소망합니다. @bongbongmarcos The Philippines is a valued friend of the Republic of Korea, having sent over 7,000 troops to fight alongside us for peace and freedom during the Korean War. As we mark the 75th anniversary of the Korean War, I express my deepest respect and gratitude for the noble sacrifice of the Filipino soldiers. I extend my sincere appreciation to President Ferdinand Romualdez Marcos Jr. for visiting Korea for the first time. His visit holds particular significance, taking place on the heels of the first anniversar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Philippines Strategic Partnership. Building on the growing economic cooperation following the conclusion of the Korea–Philippines Free Trade Agreement, we will further strengthen our strategic collaboration in areas such as infrastructure, shipbuilding, and defense. I also congratulate the Philippines on assuming the ASEAN Chairship next year. We agreed to work closely together to further enhance Korea–ASEAN relations. I hope this meeting will serve to further solidify the bonds of friendship between our two nations.
칠레는 1949년 남미 최초로 대한민국 정부를 승인한 국가이자 우리의 첫 FTA 체결 파트너입니다. 중남미 지역의 가장 중요한 협력국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1962년 수교 이후 우호 협력 관계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왔으며 특히 핵심광물 공급망, 인프라, 방산, 신재생에너지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전략적 동반자로서의 협력을 굳건히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양국의 공동 번영을 위해 함께 노력하며, 문화 교류를 포함한 여러 분야에서 전략적 파트너십을 강화하기로 뜻을 모았습니다. 처음으로 한국을 방문해 주신 가브리엘 보리치 칠레 대통령께 깊은 감사를 전합니다. 이번 만남을 계기로 양국의 특별한 우정이 더욱 확대되길 소망합니다. @GabrielBoric Chile fue el primer país sudamericano en reconocer al Gobierno de la República de Corea en 1949 y es también nuestro primer socio en firmar un Tratado de Libre Comercio. Asimismo, es uno de nuestros socios más importantes en la región de América Latina y el Caribe. Ambos países, desde el establecimiento de relaciones diplomáticas en 1962, han desarrollado de manera constante una relación de amistad y cooperación y, en particular, han consolidado su colaboración como socios estratégicos en diversos ámbitos, tales como las cadenas de suministro de minerales críticos, la infraestructura, la industria de defensa y las energías renovables. De cara al futuro, hemos coincidido en seguir trabajando juntos por la prosperidad compartida de nuestros pueblos y en fortalecer nuestra asociación estratégica en múltiples ámbitos, incluido el intercambio cultural. Quisiera expresar mi más profundo agradecimiento al Presidente de la República de Chile, Gabriel Boric, por su primera visita oficial a Corea. Confío en que este encuentro contribuya a profundizar aún más la amistad especial que une a nuestros dos países.
83
555
7
2,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