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려고 하다가 multiplifi
@multiplifi 공계에서 야핑거리를 던져주네요!!/RWA가 필요한 이유?
RWA가 필요한 이유? 완전 근본적인 질문 ! 인생이란 무엇인가? 이런 종류의 질문이죠!
오래 전에 아래의 저의 관점을 포스팅 한 적이 있는데요, 정리 할 겸 한번 풀어보겠습니다 !
과거 대략 2년 전 쯤 토론회에서 당시 제가 RWA에 대하여 상당히 비판적인 의견을 개진 한 적이 있는데요. 그 이유는 RWA가 제대로 된 사회적 합의에 의한 규제 없이 시행 될 경우 쓰레기 담보 자산을 리테일에게 덤핑 치는 도구가 될 것이라는 우려 때문 이였습니다. 이는 금융이 고도화 된 환경에서 더욱 그러하겠죠.
그래서 저는 RWA가 정말로 필요 한 곳은 바로 금융 인프라가 미비한 곳이라는 의견을 이야기 한 적이 있습니다.
핵심 요약
RWA는 선진국의 금융 고도화보다, 금융 인프라가 미비한 국가에서 실물자산을 효율적으로 유통시키는 역할이 더 크다
1. Unlocking dormant capital/비유동 자산의 유동화
금융 후진국에서는 토지, 부동산, 농산물, 기계 설비 등 실물 자산의 담보력은 충분하지만 유동성이 매우 낮습니다.
이는 은행 대출 접근성이 떨어지고, 담보 평가 시스템 자체가 매우 비효율적이기 때문입니다.
이런 환경에서 RWA는 토큰화(tokenization) 를 통해 자산의 소유권을 블록체인 상에서 분할·유통할 수 있게 만들어 잠자는 자본(dormant capital)”을 실제로 움직이게 할 수 있습니다.
예시: 케냐의 농지나 인도의 소형 부동산을 토큰화하여, 지역 농업협동조합이나 개발 프로젝트가 글로벌 투자자로부터 직접 자금을 유치할 수 있음.
2. Bridging trust gaps/제도적 신뢰 공백의 보완
금융 인프라가 약한 지역에서는 부패, 불투명한 거래 기록, 행정 비효율이 자본 흐름을 막습니다.
RWA는 블록체인에 자산의 소유권, 담보권, 수익 흐름을 투명하게 기록함으로써 이러한 신뢰 격차(trust gap) 를 메울 수 있습니다.
즉, 중앙기관을 신뢰하지 않아도 자산의 권리 관계를 투명하게 증명하는 것이죠.
예시: 나이지리아나 베트남 등에서 부동산 권리 증서를 NFT 형태로 발행하여 거래 기록을 위·변조 불가능한 형태로 저장, 해외 투자자들이 안전하게 지역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는 구조.
3. Enabling inclusive finance/포용적 금융 확장
금융 후진국의 개인과 중소기업은 대출, 투자, 보험 등 전통 금융 서비스 접근이 매우 제한적입니다.
RWA를 통한 토큰화는 자산 기반의 대출 과 소액투자의 길을 열어줍니다.
소액 단위로 쪼개진 자산을 누구나 보유하거나 담보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시: 필리핀에서 어선, 농기계, 에너지 인프라 설비 등을 토큰화하여 지역민이 공동 소유자로 참여하고, 토큰을 담보로 소액 대출을 받는 구조.
요약하자면
RWA는 금융 선진국의 "효율화 도구"라기보다,
금융 후진국에서 자본 접근권을 민주화하는 인프라로서 더욱 효율적인 가치를 가진다는 의미 입니다.
즉, RWA는 자산의 가치를 옮기는 기술이 아니라
자산의 가치를 드러내는 기술이며, 그 필요성은 가장 금융이 닿지 않는 지역에서 가장 크게 발현됩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세요?